본문 바로가기

역사34

삼국시대 중국, 일본과 주고받은 외교 선물과 의미 고구려, 백제, 신라는 고대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에서 중국 왕조와 일본, 그리고 유목민족과 활발히 외교 관계를 맺으며 다양한 선물을 주고받았다. 이러한 외교 선물은 당시 국가간에 교류를 함에 있어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서로 큰 영향을 미쳤기에 결코 소홀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삼국 각각의 외교를 위한 노력이 어떠했는지 알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1. 고구려의 외교선물 고구려는 특히 중국 당, 북조 등과 관계를 맺으며 외교 사절을 파견했는데, 이 과정에서 보내는 선물은 국가의 위신을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고구려가 중국에 보낸 선물로는 말과 모피, 특산물 등이 있었으며, 이는 북방 민족 특유의 강인함과 풍요를 상징했다. 반대로 중국이 고구려에 보낸 물품은 비단, 청자, 금.. 2025. 4. 28.
조선 시대 주술 문화 민간 마법 과거와는 달리 모든 것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도 주술이나 미신 등은 늘 우리와 함께 하고 있다. 비록 과학적인 근거를 대면서 증명할 수는 없지만 과거와 현재 모두에 적용되는 이 같은 것들은 분명 그것이 유지되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1. 조선 사회 속 주술 문화 조선 시대는 성리학을 국가 통치 이념으로 삼아 이성적 질서와 도덕을 중시한 사회였다. 하지만 현실 세계는 성리학적 이상과 달리, 불확실한 자연재해, 질병과 고통, 삶의 고난으로 가득했다. 이런 불안 속에서 민간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마법과 주술이 발달하였다. 공식적으로는 미신이라 배격했지만, 실제로는 왕실부터 민간에 이르기까지 주술적 믿음은 생활 깊숙이 스며들어 있었다. 조선 사람들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행운을 얻으며, 재앙을 막기 위해 다양한 .. 2025. 4. 27.
일제강점기 비공식 저항 운동에는 어떤 것이 있었을까? 1. 기록되지 않은 저항 운동 일제강점기는 공식적인 독립운동 단체뿐 아니라, 이름도 남지 않은 수많은 민중들의 저항이 있었던 시대였다. 3·1 운동이나 임시정부 활동처럼 조직적이고 기록된 항일운동이 역사적으로 대표적인 기록이라면, 비공식적인 저항은 일제강점기 아래에서 끊임없이 분출된 민중의 운동이었다. 일제의 억압 아래 직접 무장하거나 공개적으로 항거하는 것은 위험했기에, 많은 조선인은 삶의 틈새에서 비공식적인 방식으로 저항을 이어갔다. 이러한 운동들은 대체로 공식 기록에 남지 않았지만, 조선인들의 분노와 독립 의지가 일상 곳곳에 스며 있었다는 증거다. 따라서 비공식 저항 운동을 조명하는 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주된 저항 운동 이외에도 독립운동의 지평을 넓히는 작업이기도 할 것이다. 2. 일본 상품 불.. 2025. 4. 26.
왕이 아닌 사람들-삼국시대 평민과 천민의 일상생활 왕이 아닌 사람들, 삼국시대 평민과 천민의 일상생활은 어땠을까요? 삼국시대의 역사 기록은 대개 왕과 귀족, 전쟁과 외교의 이야기로 채워져 있습니다. 그러나 그 시대를 살아낸 이들의 대부분은 평민과 천민이었죠. 고려나 조선, 그리고 현대사회에도 기록되는 사람들은 대부분 지배층, 혹은 권력자이나 그 시대를 지탱하는 사람들은 평범한 보통 사람들인 것처럼요. 이들은 나라를 지탱하는 밑바탕이자 경제와 문화를 실제로 움직이던 주체들입니다. 비록 그들의 이름은 역사에 많이 기록되지 않지만 유물이나 각종 기록 등 다양한 자료 속에서 이들의 흔적을 찾을 수 있어요. 삼국의 평민과 천민은 농업과 수공업 등에 종사하며 하루하루를 버텼고, 전쟁이나 기근, 세금과 부역의 어려움 속에서도 공동체의 형태로 삶을 지탱해 나갔습.. 2025. 4. 25.
고려와 조선시대에도 여성 단체가 있었을까? 오늘날 현대의 여성 단체들은 사회 전반에 있어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어느 날 갑자기 생긴 것이 아니라 과거로부터 이어져 왔으며 이름은 달라도 발전해 온 단계가 있기에 고려와 조선시대 여성의 활약에 대해 알아보면 적용 점이 있을 것이다. 1. 고려시대 여성의 사회적 지위, 활동 고려시대는 유교적 이념이 아직 절대적이지 않았기에,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비교적 높았으며 상속권, 재산권 등에서 남성과 유사한 권리를 누리기도 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여성들은 일상생활 속 다양한 공동체를 형성하여 상호 협력하고 각종 의례나 경제 활동을 함께했다. 대표적인 것이 계(契)라는 조직이다. 계는 친족이나 이웃, 마을 사람들 간의 자발적 모임으로, 주로 금전적 상부상조, 혼례나 장례 등의 의례 지원, 생계비 마련 등.. 2025. 4. 24.
고려시대의 절기나 명절, 시간을 바라보는 관점 우리에게 시간은 어떤 개념일까요? 시간이라는 것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우리 인간의 삶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시간에 대해 시대마다 다른 관점으로 대하고 있기에 어떤 인식으로 다가갔는지 궁금하더라고요. 1. 고려시대 시간의 개념 고려시대 사람들은 시간을 단순히 흘러가는 것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시간은 자연 속에서 질서 있게 순환하는 것이었으며, 인간의 삶과 직결된 하나의 구조였습니다. 이러한 관점은 농경 사회의 특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데요. 농사 주기에 따라 노동과 휴식이 나뉘었고, 이를 기준으로 한 절기와 명절은 사람들의 삶을 지탱하는 뼈대 역할을 했습니다. 고려인들은 해와 달, 별의 운행을 관찰하여 시간을 측정했고, 이러한 천문학적 지식은 국가적 차원에서 체계화되었습니다. 특히 고.. 2025.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