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4 원산 총파업,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노동운동 시대가 달라도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은 모두 비슷하다. 어떤 목적을 위해 노동을 하고, 대가를 받고 그것으로 살아간다. 다만 어떤 환경에서 살아가는가에 따라 노동자들의 노동에 대한 의미는 다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일제 시대 노동에 대해 살펴보고 싶었다. 1. 원산 총파업의 역사적 배경 1920년대는 일제강점기 조선 사회가 식민 통치에 의해 극심한 착취와 억압을 받고 있던 시기였다. 특히 3·1 운동 이후 조선 민중에게는 독립의식이 급격히 확산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민족운동과 계급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노동자 계급의 권리를 주장하는 노동운동도 본격화되었고, 전국 각지에서 파업과 집회가 잇따랐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 속에서 1929년 강원도 원산에서 벌어진 원산 총파업은 .. 2025. 4. 8. 식민지 조선의 독서문화, 근대 인쇄문화 형성 일제치하 일본은 조선의 정체성을 말살하기 위해 여러가지 강한 정책을 펼쳤으나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글로서 독립의 열망을 표현하고, 또 공유하는 민중 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조선의 글과 독서, 그리고 인쇄문화는 결국 독립으로 가는 길에 큰 역할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1. 근대 인쇄문화의 유입, 그리고 그에 따른 조선 문화의 변화 근대 인쇄문화는 19세기 말 조선에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구텐베르크식 금속활자 인쇄술이 서양에서 도입되면서, 기존의 목판 인쇄나 전통 활자보다 훨씬 빠르고 대량의 인쇄가 가능해졌다. 특히 개항 이후 외국 선교사들과 일본의 기술자들이 들여온 근대식 인쇄기는 조선의 출판 환경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았다. 대표적으로 1883년에 창간된.. 2025. 4. 7. 역사학자 신채호, 아와 비아의 투쟁 우리가 흔히 한국사 공부를 할 때 주로 서두에서 많이 배우는 역사학자 신채호입니다. 박은식과 비교, 대조하면서 배우게 되는데요 신채호의 이론 역시 굉장히 인상 깊습니다. 그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 또 의미를 찾아보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1. 생애, 시대적 배경 신채호(申采浩, 1880년 12월 8일 ~ 1936년 2월 21일)는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 격변의 시대를 살았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그리고 민족주의 역사학자입니다. 호는 단재입니다. 그는 충남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유교 경전을 공부하며 한학자로 성장하였습니다. 1897년 성균관에 입학했고, 1905년에는 대한매일신보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하였습니다. 이 시기 그는 을사늑약 체결 이후 나라를 잃어가는 현실에 절망하며, 언론을 통.. 2025. 4. 7. 박은식의 한국통사 역사적 의미 1. 박은식의 『한국통사』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박은식(朴殷植, 1859~1925)은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민족주의 역사학자로, 국권 상실 이후 나라의 혼을 지키기 위해 역사 연구에 힘쓴 인물이다. 그는 애국계몽운동과 교육 활동에 앞장섰으며, 국권이 피탈되자 망명해 상해 임시정부의 제2대 대통령을 역임하기도 했다. 이처럼 민족의 운명이 암울하던 시기에 그는 민족정신을 고취하기 위해 역사서를 집필하게 되었다. 는 바로 이러한 시대적·역사적 배경 속에서 탄생한 책이다. 이 책의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통사’는 '통한의 역사'라는 의미로, 나라를 잃은 비통한 심정을 담고 있다. 박은식은 단순히 과거 사실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서, 민족의 각성과 자주정신의 회복을 목표로 이 책을 저술하였다. 그는 “나라는 형체요, .. 2025. 4. 6. 이전 1 ··· 3 4 5 6 다음